[공지]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
논리적 오류/비형식적 오류 (비교)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r5 vs r6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36 | 36 | 부분이 가지고 있는 속성으로 전체의 속성을 판단하는 것. |
37 | 37 | * 예1: 길동은 고추장과 빵을 좋아하니 고추장을 바른 빵도 좋아할 것이다. |
38 | 38 | * 예2: A 팀에 소속된 갑, 을, 병은 똑똑하니 아무리 그들이 의견이 안 맞아도 A 팀은 세질 것이다. |
39 | ==== 공통 원인 무시의 오류 ==== |
|
40 | 사건 1이 일어나면 사건 2와 사건 3이 일어날 때, 사건 2와 사건 3에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오류. |
|
41 | * 예1: 물을 마시면 피부가 좋아지고 머리가 좋아진다. 즉 피부가 좋아지면 머리가 좋아진다. |
|
42 | * 예2: 도희는 길동을 낳았고 서준을 낳았다. 고로 길동은 서준의 부모이다. |
|
43 | 43 | ==== 도덕주의적 오류 ==== |
44 | 44 | 도덕주의적 오류는 윤리만을 기준으로 판단을 내리는 오류이다. |
45 | * 예1: 사람은 모두 평등하니까 사람은 다 똑같이 생겼다. |
|
46 | * 예2: 성차별은 하면 안 되므로 남자의 평균 키도 여자의 평균 키도 166cm이다. |
|
47 | ==== 복합 질문 ==== |
|
48 | 복합 질문은 어떤 질문 안에 또다른 질문을 숨기는 것이다. 이건 단순히 예/아니오로 답할 수 없는 것이다. |
|
49 | * 예1: 그 거짓말 진짜니?[* 어떤 말을 거짓으로 전제하는 것.] |
|
50 | * 예2: 너가 훔친 돈으로 술을 사 마셨니?[* 돈을 훔치지 않았다고 하면 술을 사 마신 걸 긍정하게 되는 거고, 술을 사 마시지 않았다고 하면 돈을 훔친 걸 긍정하는 것이다.] |
|
51 | 51 | ==== 분해 오류 ==== |
52 | 52 | 결합 오류와는 방향이 반대인 오류로, 전체 속성으로 부분을 판단하는 오류이다. |
53 | 53 | * 예1: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이니 한국인도 차별을 하지 않을 것이다. |
... | ... | |
70 | 70 | 애매성은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장난으로 말미암은 오류이다. |
71 | 71 | * 예1: 겨울에는 눈(Snow)이 내리니 겨울에 한 잘못은 눈(Eye)에게 더 잘 들킨다. |
72 | 72 | * 예2: 발 없는 말(word)이 천리 간다. 따라서 말(Horse)의 발을 자르면 말이 더 멀리 간다. |
73 | ==== 역인과관계의 오류 ==== |
|
74 | 인과 전도의 오류라고도 하며, 원인과 결과를 맞바꾸는 것. |
|
75 | * 예1: 대철은 연주자니까 악기 연주를 잘 한다. |
|
76 | * 예2: 소영은 가수니까 노래를 잘 부른다. |
|
77 | * 예3: 길동은 키 크니까 줄넘기를 한다. |
|
78 | 78 | ==== 자연주의적 오류 ==== |
79 | 79 | 자연의 섭리를 근거로 상황을 판단하는 오류. 위의 도덕주의적 오류와는 방향이 반대이다. |
80 | 80 | * 예1: 사랑은 남녀끼리 해야 하니 동성애는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. |
... | ... |